코드 저장소

공부에는 끝이 없다!

Spring/오류 해결 모음

Gradle 프로젝트 추가하기, IntelliJ 한글 깨짐 해결

VarcharC2K 2024. 6. 13. 22:19

해당 카테고리에서는 Spring MVC 강의를 들으며 발생했던 이런 저런 문제점들과 해당 문제점들을 어떻게 해결했는지 정리해 보도록 하겠다.


Gradle 프로젝트 추가하기

강의를 수강하면서 진행 사항을 기록해 두고자 intelliJ를 Git과 연동하였는데 왜 인지는 모르겠지만 Git 연동 후 

gradle "java.lang.NoClassDefFoundError"

라는 에러가 발생하며 프로젝트가 정상적으로 실행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Build도 되는데 Run만 안되는 상황에서 이게 뭔 상황이지 하고 이것 저것 찾아 보았는데, 다행히 잘 정리된 글을 찾아 해결할 수 있었다.

정확한 방법은 아래의 글을 참고하기 바란다.

 

일단 원래 정상적이라면 아래의 이미지처럼 Gradle 탭이 오른쪽 편에 나타나야 한다.

하지만 나의 경우는 이 탭 자체가 사라진 상태였는데 이를 통해서 intelliJ가 Gradle 프로젝트 인식을 못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해결 방법은 단순한데 build.gradle에서 우클릭을 하면 Link Gradle Project 라는 버튼을 확인할 수 있다.

출처 : 티끌모아개발/율무전자

프로젝트를 링크하고 다시 빌드하고 실행해 보니 정상적으로 잘 실행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IntellJ 한글 깨짐 현상

위의 현상을 해결하고 잠깐 IntelliJ를 껐다가 켰는데 주석으로 달아놨던 한글이 죄다 박살나있는 것을 보았다...

사실 개발하다 보면 한글 폰트 깨지는 건 많이 볼 수 있는 현상인데 이참에 아예 설정을 바꿔놓기로 하였다.

다행히 아래의 글에서 변경 방법을 쉽게 찾을 수 있었다.

https://timotimo.tistory.com/57
 

[IntelliJ] 인테리제이 한글깨짐 해결방법 총정리

인텔리제이 다양한 한글 인코딩 문제의 원인을 알아보고 해결방법을 소개드립니다. 먼저 이 글에서는 공통으로 적용해야할 2가지 방법을 먼저 소개드리고, 본문 하단 링크를 통해 나머지 원인

timotimo.tistory.com

 

결론적으로 2가지를 설정 해 주었는데 첫번째는 VM 옵션을 변경하여 JVM 사용시 인코딩 옵션을 변경하였다.

우선 리본 탭의 help에 보면 Edit Custom VM Options... 로 들어간다.

그러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날 텐데 해당 화면이 VM의 옵션이 들어있는 변경창이다.

해당 화면에 UTF-8 형식으로 인코딩 하겠다는 옵션을 적어주면 변경은 완료된다.

단, 주의할 것은 해당 방법은 실제 원본 파일을 수정하는 것이 아닌 VMOption의 Copy본으로 우선순위를 높여서 적용하는 방법이니 실제 원본 자체를 수정하는 것은 위의 링크된 사이트로 들어가서 확인하기 바란다.

다음으로 IntelliJ의 파일 인코딩 방식을 변경하였다.

셋팅을 변경하는 방법은 File > Settings..로 들어가 File Encoding으로 가면 파일에 대한 인코딩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위의 표시된 4가지 옵션을 UTF-8로 변경하고 적용하면 정상적으로 한글이 표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