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 저장소

공부에는 끝이 없다!

Git

버전관리와 Git - 환경 설정 하기

VarcharC2K 2023. 12. 23. 17:29

버전 관리란?

대학교때 조별 과제를 하다보면 서로 작업한 작업물을 하나로 합쳐 최종적인 결과물로 만들게 된다.

그런데 이 결과물이 합친다고 끝나는 것도 아니고 수정의 수정을 거듭하다보면 Final 사본이 무지막지하게 늘어나게 된다.

결국 파일 관리에 _최종본만 늘어나게 되고 나중에는 뭐가 진짜 최종본인지 알지도 못하는 그런 황당한 상황을 한번쯤 경험해 보을 것이다.

최종_최종_진짜마지막.. 보기만 해도 어지럽다...

개발을 할때도 마찮가지다.

팀 프로젝트를 진행하다보면 나 혼자 작업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서로의 로컬에서 진행한 작업물을 합쳐서 최종 프로젝트 작업물을 만들어야 한다.

그런데 코딩을 할때는 어떻게 작업물을 관리해야 하는가.. 서로의 로컬 PC에 있는 데이터가 알아서 연동 되는것도 아니고 하나의 프로젝트 파일로 USB로 돌려쓰자니 동시에 작업이 불가능하고 그렇다고 같이 진행하자니 진행한 부분을 합치는 것도 상당한 작업이 요구된다.

 

버전 관리란 바로 이런 문제에서 시작된다.

각 파일을 누가 수정했는지, 누가 언제 만들었는지, 혹은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거나 수정 내용을 비교한다던지 이런 기능들을 가능하게 해주는것이 VCS라고 말하는 버전 관리 시스템이다.

그리고 이런 VCS의 대표격중 하나인 것이 Git이라는 소프트웨어라고 말할 수 있다.

 

Git

개발자라면 누구나 한번쯤 Git에 대해서 들어보았을 것이다.

그런데 막상 Git에 대해서 설명해 보라고 하면 정확하게 설명하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Git을 쉽게 말하자면 각 컴퓨터 파일의 변경사항을 추적하고 여러 사용자의 파일들의 작업을 조율해주는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이다. 

Git은 저장할 공간만 있다면 개인 컴퓨터, USB, 클라우드등 어디에서나 사용이 가능하다.

 

이런 Git을 사용하는데에는 2가지 방법이 있는데

  1.  CLI(Command Line Interface) : 명령어를 직접 입력하여 사용하는 방법
  2.  GUI(Graphic User Interface) : 버튼과 같이 구현된 GUI를 이용하는 방법

크게 2가지로 구분된다.

그럼 올린 파일(코드)는 어디로 가느냐?

보통은 클라우드 사이트에 올리게 되는데 GitHub이 가장 대표적이다.

올라가는 과정을 쉽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로컬 PC에서 Git을 사용할 경로를 지정한다.
  2. 작업을 진행 한 후 클라우드로 올릴 파일을 선택한다
  3. 선택한 파일을 한덩어리로 만들고 해당 작업에 대한 설명을 작성한다
  4. GitHub 사이트에서 프로젝트 저장소를 만든다.
  5. 로컬 프로젝트 폴더에 GitHub 저장소 주소를 알려준다.
  6. 로컬에 있는 덩어리를 GitHub에 올린다.

위와 같은 작업을 통하여 우리는 로컬에 있는 파일을 여러 사람들과 공유하며 다른 사람의 작업 진척도와 상관 없이 일을 진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럼 이렇게 편리한 Git을 사용하기 위하여 Git와 GitHub의 환경을 설정하는 작업을 진행해 보자.


GIT 환경설정하기

CLI 환경 구축하기

우선 내  PC에 Git이 설치가 되어있는지 확인해 보아야 한다.

확인 방법은 간단한데, Command(Window 환경 기준)를 실행하고 git을 입력하여 보자.

필자의 경우 Git을 이미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Git 명령어 목록이 나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런 경우라면 이미 Git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만약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명령어에 대한 안내가 나오지 않으며 이런 경우는 Git를 설치해주어야 한다.

설치 경로는 다음 링크를 확인하자.

위 링크를 확인해 보면 Git 홈페이지가 나오게 되는데 우측에 보면 가장 최근에 Release 된 버전과 해당 버전을 다운로드 할 수 있는 버튼이 있다.

 

그럼 Set Up파일이 받아지게 되는데 해당 파일을 실행해 보면 다음과 같은 설정 화면이 나온다.

설정을 보면 Git Bash와 Git GUI 설치에 대한 체크가 있는데 두개 모두 체크를 해주고 진행하면 된다.

특별한 설정이 필요없다면 Default로 설정된 옵션만으로 충분하므로 따로 설정을 해줄 필요 없고 필요시에 해당 옵션만 체크하고 진행하면 되겠다.

 

정상적으로 설치가 종료되면 Git Bash가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Git-Bash는 앞서 설명한 Git을 사용하는 방법 중 CLI 방식을 실행할 수 있게 도와주는 도구이다.

실제로 Git Bash를 실행시켜 보면 Command와 비슷한 화면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위 터미널에 git이라는 명령어를 입력해 보면 앞서 Command에서 보았던 명령어 목록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 Branch 나누기  (2) 2023.12.29
GIT - 소스트리 이용하기  (1) 2023.12.28
Git - GUI 이용하기  (0) 2023.12.27
GIT 사용하기 - CLI를 이용한 Push  (1) 2023.12.26
GIT 사용하기 - CLI를 이용한 Commit  (0) 2023.12.25